눈에 뭔가 검은것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여요, 눈에 검은점이나 아지랑이가 보인다면? 비문증 원인과 치료법 알아보기

2022. 6. 8. 13:18● 건강/눈

눈에 뭔가 검은것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여요, 눈에 검은점이나 아지랑이가 보인다면? 비문증 원인과 치료법 알아보기


망막이란? 

우리눈을 감싸고 있는 얇은 신경조직

 

망막 박리

 


망막박리란?

망막에 구멍이 생겨 액체 상태의 안구내액이 망막 아래로 들어가 망막시세포가 지지세포층에서 분리되는 질환

망막박리

 


망막박리 원인

1. 노화 - 유리체 액화와 유리체 박리는 노화에 의해 발생

 

 

 

 

2. 근시

1) 근시가 심할수록 안구 길이가 길어지고 유리체 액화가 젊은 나이에 발생

2) 50세 미만 망막박리 환자의 90%이상 분포

 

 


 

 망막박리 증상

 1. 비문증 (=날파리증)

실 같은 검은점이 눈에 떠다니고 다양한 형태로 보이는 증상

 

 

*망막열공 - 망막의 구멍

 

 

2. 광시증

빛이 없는 어둠 속에서 번쩍이는 빛을 느끼는 현상

(눈을 부딪쳤을 때 벌이 보이는 것과 같은 현상)

 

 

3. 시야장애

검은 커튼을 친 것처럼 주변이 까맣게 변하는 증상

 

 

 망막의 열공이나 박리를 방치하다가는 실명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고연령층 근시가 심한 경우 비문증 발생

 


 

망막박리의 진단과 치료 방법

> 망막박리 진단

망막박리 안저검사

동공을 통해 눈의 안쪽을 들여다보는 검사

"망막, 망막혈관, 시신경의 상태 확인"

 

안저검사 방법 : 검안경, 특수카메라

 

 


 

망막박리 치료 방법은?

1. 상태가 심각하지 않다면, 상태에 따라 레이저치료 권유

2. 황반부를 침범했을 경우, 반드시 수술치료가 필요

*황반부 : 시력에 관여,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 시신경 주변에 분포.

 

수술에는 두종류가 있는데,

 

1. 공막돌륭술

안구 외부에서 실리콘 스펀지로 눈을 눌러 주거나 실리콘밴드로 안구를 조여 망막에 생긴 구멍을 막는 수술

 

 2. 유리체절제술

안구 내부의 유리체 제거후, 레이저로 구멍 주위를 막고, 가스를 넣어 망막을 제자리로 붙이는 수술.

 

 수술은 환자의 나이와 망막박리 양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학병원에서는 다각도의 검사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수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 속 망막박리 주의사항은?

눈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기본.

 

일상생활 주의점

1. 격투기나 구기종목 등, 격한 운동시 반드시 고글/헬멧 착용

 

 2. 눈을 자주 비비는 행동주의

 

 3. 야외활동을 늘려 근시 예방

장시간 책이나 전자기기 사용 금할 것.

 

망막박리는 유전성향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족이나 친척중에 망막박리 수술을 받은 환자가 있고 본인이 고도근시나 비문증 등의 증상이 있다면 꼭 망막검진을 받아 보셔야 합니다.

 


 

망막박리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안과검진입니다.

근시 노화로 인한 망막박리가 많기 때문에

근시가 있는 분이라면 눈에 각별히 더 신경 쓸 필요가 있는데요,

 

고도근시와 망막박리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환인 만큼

고도근시 환자라면 젊은 나이라도 방심하지 말고 안과검진을 꼭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력이 크게 떨어지거나

눈 앞이 번쩍 거리는 광시증,

눈 앞에 어두운 커튼이

쳐진것 같은 시야의 변화가 있다면

망막박리를 의심해봐야하는데요!

노화가 주 원인이지만

젊은 사람도 안심할 수 없는

망.막.박.리.

안과 우세준 교수님이 설명해주시는

망막박리의 증상과 진단, 치료까지!

유튜브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5분 의사수첩] 실명을 유발하는 망막박리

 

 

 


 

(0:26~)

망막박리란?

(1:09 ~)

망막박리의 원인

(1:58 ~)

망막박리의 증상

(3:04 )

비문증이 실명을 유발하나요?

(3:40~)

망막박리의 진단과 치료

(5:07~)

일상생활 주의점